Search Engine/IR Papers2008. 6. 24. 16:35
출처: http://irgroup.org/zbxe/4783


색인기 구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부터 아래로 훑어 내려가면 되겠네요.


우선 색인 대상 데이타로 HTML, DB, W/P용 문서들, 기타 등등 Text-base의 모든 데이타는 색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타를 검색엔진(특히 색인기)이 인지하려면 각각의 포맷을 알야아 할 것입니다. 그래야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겠지요.


어제는 그러한 부분은 Dumper라고 간략히 말씀드렸읍니다. 이녀석을 오늘은 좀 다른말로 표현해보지요. 여기서는 Document Recognizer(문서 인식기)라고 표현하였습니다.


물론 인터넷 어디를 뒤져봐도 이런 용어를 찾기 쉽지 않을 거구요. ^^;


이녀석의 역할을 각각의 문서 포맷별로 필터를 가지고 있어서 해당 문서를 정확히 분석하여 F-TXT를 생성하는데 있습니다. 여기서 F-TXT는 검색엔진이 이해할 수 있는 형식화된 텍스트 문서입니다. 만일 색인기가 F-TXT형식으로 XML을 사용하겠다면 색인기는 XML파서만 있으면 되겠지요? 이런 경우라면 Document Recognizer는 각각의 문서들을 분석하여 XML로 재구성한 후 저장해 둘 것입니다.


일반적인 엔진들은 Document Recognizer를 필요에 의해서 간단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도 합니다. F-TXT의 형식은 정해질 지라도 검색 대상 문서들의 포맷을 모두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구성할 때 간단한 프로그램으로 색인 대상 데이타를 F-TXT로 변환합니다. 결국 색인기는 F-TXT라는 형식만 인식하는 구조로 작성하고 Document Recognizer를 서비스 개발자가 직접 작성하게 하면 아주 유연한 엔진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은 F-TXT의 구성 예입니다.


DOCID : 1

TITLE : 정보검색시스템이란 무엇인가.

BODY : 정보검색이란... 어쩌구저쩌구.. 지화자 좋구나....

DATE : 20040520 130222

SIZE : 3428

URL :http://내도메인/data/ir.html


위 예는 간단한 예일 뿐입니다. 엔진 구성하는 사람의 마음이죠. ^^;

F-TXT가 만들어 지면 F-TXT 파서는 퍼블리슁이 필요할 경우 HTML Generator에게 파싱된 데이타를 전달하여 서비스 페이지를 만들게 됩니다. 또한 index Generator에게도 파싱된 데이타를 전달하여 실제 색인을 하도록 도와줍니다. 결국 핵심이 되는 것은 index Generator로서 이 녀석이 모든 색인DB를 생성하고 화일들을 관리하게 되지요.


Index Generator는 형태소분석기를 내장합니다. 물론 형태소 분석기는 여러가지 사전을 가지고 있어서 이런 사전정보와 경험정보, 규칙들을 사용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합니다. 형태소분석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전 강좌에서 간단히 말씀드렸던것 같네요.. 다시 말하자면 한국어 특성을 고려한 색인어를 추출하기 위함입니다. 물론 형태소분석기가 없더라도 색인어는 추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경우는 형태소분석기가 오히려 색인어를 제대로 추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보여드리는 색인구조는 국내의 엔진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조를 말씀드리는 것이구요. 아무튼.. 색인기는 형태소분석기를 통해 색인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인어를 기반으로 역화일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최종 요약정보도 생성하고 색인 과정을 마치게 됩니다. 이때 생성되는 화일들이 mapping table, term(keyword) trie, posting file, summary file 등입니다. 여기서 term trie와 posting화일을 역화일구조로 작성하게 됩니다.


위의 F-TXT 예를 기초로.. 검색서비스를 구성할 때 title에서만 검색, body에서만 검색, 날짜구간 검색 등의 검색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때 title, body, 날짜등은 별도의 역화일로 구성하면 의미상 명확할 뿐 아니라 검색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습니다. 이유는 필터링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구성하게 될 때 사용자가 title에서만 검색하는 명령을 내리게 되면 엔진에서는 title 필드에 해당하는 역화일을 찾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부분을(title은 몇번째 역화일이다 라고 하는) 명시하는 것이 mapping table입니다.


term(keyword) trie는 index Generator가 생성한 모든 term(keyword)들을 트리형태로 표현하고 있는 색인 정보 입니다. 엔진마다 b-tree, b+ tree, trie, p tree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성격에 맞는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되겠네요.. term trie는 posting file의 offset을 가지고 있어서 어떤 term이 나타난 문서들의 목록을 posting화일로 찾아가 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posting화일은 문서들의 목록을 가지는 화일입니다. 단순히 문서번호를 나열해 둔 화일로서 term-trie에서 이 화일을 참조하여 문서목록을 가져옵니다. 여기서 문서목록이란 쉽게 생각하면 검색결과 목록이 될 수 있습니다.


summary file은 요약화일로서 검색결과를 화면에 보여줄 대 화면에 출력 가능한 데이타들을 모아둔 화일입니다. 쉽게 구성한다면 F-TXT를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겠지요.


그외의 모듈들은 사실 반드시 필요한 모듈들은 아닙니다. 필요에 의해 만들어 둘수도 있는 모듈들이라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이상 간단한 색인기 구조였습니다. 끝.



Posted by BAGE